도서출판 시나고그
신고번호 제 2022-000002 호
신고 연월일 2022년 5월 24일
사업자등록번호 116-94-07777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망경대산길 233-56
우편번호 26246
전화 033-372-3709
휴대폰 010-6456-1611
비블로스는 사람이 저작권을 가질 수 없으며,
번역의 법적 보호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번역자: 박만수
출판 및 보급: 도서출판 시나고그
본 비블로스는 값없이 선물로 제공되며, 상업거래를 일절 금지합니다.
출판 및 보급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원하시면, 도서출판 시나고그(010-6456-1611)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메일 jemeal@naver.com
창조주의 말씀을 인간이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기록한 책을 비블로스라 합니다.
그리스어 비블로스는 음역해야 할 낱말로서, 한글로 비블로스라 음역해야 정확합니다. 영어 바이블(Bible) 역시 음역한 것이지만, 비블로스가 아닌 비블리온(단수)과 비블리아(복수)의 음역이어서 아쉬움이 있습니다. 비블로스는 여성명사로서 인간의 혼(프쉬케, 여성명사)과 함께 숨 쉬는 생물로서의 책이지만, 비블리온과 비블리아는 중성명사로서 일반적인 책을 의미합니다.
비블로스 전서가 처음 인류를 위해 번역되기 시작한 것은 시리아의 안티오키아에서부터였으며, 안티오키아 비블로스*의 뿌리를 계승한 것이 영어권에서는 제임스왕역본 비블로스(킹 제임스 바이블)입니다.
말씀으로 세상을 창조하셨듯이, 말씀으로 세상을 새롭게 하여 완성하는 것이 창조주의 뜻입니다. 새 창조의 완성은 전적으로 말씀성취에 달려 있는데, 말씀이 정확하지 않으면 말씀성취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비블로스*의 신비는 주의 성육신(成肉身)의 신비와 동일한데, 완전한 말씀이 불완전한 인간의 언어에 담겨있고, 거룩하신 숨의 인도와 크리스토스의 사람들의 순종에 의하여 정확하게 보존되는 것이 비블로스*의 신비입니다.
주의 모든 명령의 말씀들인 비블로스를 살펴 지키라는 것이 모든 민족들에게 하달하신 주의 지상명령입니다(성도 맛싸이오스에 따른 희소식 28장 19, 20절). 비블로스를 위한 민족경쟁의 장에 우리 한민족도 참여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찾아왔습니다.
이에 밥티스마를 통해서 확인된 내 안의 착한 엘성(양심)에 따라서, 안티오키아 비블로스를 한글로 번역하는 작업에 착수하였고, 35년간의 번역과정을 거쳐서 마침내 한글 비블로스 전서를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적은 능력을 가지고도 이 일을 해낼 수 있었던 것은 진리의 영의 인도와 내 안의 착한 엘성이 호흡을 맞출 수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적은 능력을 가지고도 교정 작업에 헌신한 여러 지체들이 있었기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습니다.
“적은 양떼여, 두려워하지 마라; 너희에게 왕국을 주시는 것이 너의 아버지의 착한 즐거움이다”(성도 루카스에 따른 희소식 12장 32절).
비록 언어의 불완전성과 인간의 나약함으로 인해 여전히 교정할 것들이 많지만, 앞으로도 여러 지체들의 참여로 충분히 다듬어지리라 믿습니다. 무엇보다도 하찮은 질그릇에 보배로운 말씀을 담아내는 비블로스의 신비가 한국 땅에서도 빛을 발하게 되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글 비블로스의 출간은 정확한 비블로스의 성취에 우리 한민족도 비로소 동참하였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영어와 한글의 만남은, 앞서간 서방언어의 한계를 뿌리 깊은 동방언어로 보완함으로써, 회복된 인류언어에 영원한 말씀을 담아내는 새로운 길을 예비하게 될 것입니다.
말씀 그대로 정확히 성취되기를 소원하는 착한 엘성(양심)의 결실이 한글 비블로스입니다. 그 첫 단추인 낱말들부터 하나하나 정확히 번역하기 위하여 어원탐색과 비블로스 용례탐구를 철저히 하고자 하였습니다.
1. 하나님 혹은 하느님 대신에 엘 혹은 엘로힘으로 정확히 표기하였습니다. 알라, 데오스, 갓(God), 신(神), 하나님(하느님) 등의 표기는 부정확하며, 여기서는 이스라엘이 맞다는 사실을 비블로스가 증거해 주고 있습니다.
2. 계약(Covenant)과 유언(Testament)을 구분하여 정확히 번역하였습니다. 가령 구약과 신약이 아닌 옛유언(구유언)과 새유언(신유언)이 맞습니다.
3. 대소문자 구분의 문제는 눈으로 읽는 것과 귀로 듣는 것의 차이를 만들어냈습니다. 시각적 구분과 강조의 의미가 필요한 시기가 있었으나, 지금은 문맥과 내용으로 충분히 해결되므로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어졌고, 또 말씀을 읽는 것과 듣는 것이 일치되는 것이 정당하므로, 본문에서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았습니다.
4. 말씀성취를 강조하는 ‘It come to pass’를 해프닝(일어난 일) 정도로 오해하여 아무 뜻이 없다고 무려 622회 2,488단어들을 삭제해 버렸는데, 비블로스의 용례대로 ‘성취의 때가 오다’로 정확히 번역하여 빠짐없이 모두 다 살려서 넣어주었습니다.
5. 고유명사에도 중요한 의미와 메시지가 담겨 있으므로 정확히 표기하되, 현지 원음에 맞춰 음역하는 원칙에 따랐습니다. 예) 안티오키아, 야코보스, 페트로스, 파울로스, 텔아비브, 찌온, 세라핌 등등
6. 음역의 원칙 중에서 히브리어 표기와 그리스어 표기는 이스라엘에게 적용되는지 아니면 인류 전체에 적용되는지의 의미 차이가 있으므로 이 역시 정확히 음역해 주었습니다. 예) 예수스 크리스토스, 다비드, 모세스, 요슈아, 시나고그, 삽바쓰 등등
7. ‘Holy Ghost’는 ‘거룩하신 숨’으로 정확히 번역해 주었습니다. 성령이란 번역은 의미도 다를 뿐 아니라 바른 번역이 아닙니다.
8. ‘교회’란 단어는 심각한 오역이므로 ‘왕가’(王家)로 바로잡습니다. 그리스어 ‘에클레시아’는 로마 황제가 백성 중에서 뽑은 대표자들을 왕의 가족으로 대우하여 ‘바실리카’라고도 불렀습니다. 성직계급과는 반대되는 민선왕정 개념으로 비블로스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영어 ‘쳐치’(church)도 원래는 ‘주님의 가족’을 의미하였는데, 지금은 원래의 의미가 사라졌으므로, 반드시 업그레이드해야 합니다.
9. 단수, 복수 구분과 성 구분, 시제, 대명사(he, she, it, they 용법) 등을 정확히 하기 위해선 한글을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습니다.
10. 그 밖에도 각각의 낱말들을 어원과 용례에 따라 정확히 번역하기 위해 과감히 바로잡았습니다. 예) 제사장이 아닌 성직자, 제사가 아닌 희생, 지옥이 아닌 헬, 창세기가 아닌 게네시스, 세대가 아닌 생명세대, 영원과 영존과 영구의 구분, 예배가 아닌 경배, 기도가 아닌 간청, 복음이 아닌 희소식, 천국이 아닌 하늘의 왕국, 보좌가 아닌 왕좌, 선지자가 아닌 대언자, 영감이 아닌 숨주입 등등.
게네시스라 부르는 모세스의 첫째 비블로스
탈출이라 부르는 모세스의 둘째 비블로스
레비성직체계라 부르는 모세스의 셋째 비블로스
숫자문제라 부르는 모세스의 넷째 비블로스
다시주신법이라 부르는 모세스의 다섯째 비블로스
요슈아의 비블로스
심판자들의 비블로스
루쓰의 비블로스
사무엘의 첫째 비블로스, 달리 칭하면, 왕들의 첫째 비블로스
사무엘의 둘째 비블로스, 달리 칭하면, 왕들의 둘째 비블로스
왕들의 첫째 비블로스, 흔히 부르기를, 왕들의 셋째 비블로스
왕들의 둘째 비블로스, 흔히 부르기를, 왕들의 넷째 비블로스
연대기들의 첫째 비블로스
연대기들의 둘째 비블로스
에쯔라
네헤미아의 비블로스
에스테르의 비블로스
요브의 비블로스
시들의 비블로스
금언들
회중 교훈서; 혹은, 선포자
솔로몬의 노래
대언자 이사이아의 비블로스
대언자 예레미아의 비블로스
예레미아의 애가들
대언자 에제키엘의 비블로스
다니엘의 비블로스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디아
요나흐
미카흐
나훔
하박쿡
쩨파니아
학가이
쩨카리아
말라키
성도 맛싸이오스에 따른 희소식
성도 마르코스에 따른 희소식
성도 루카스에 따른 희소식
성도 요안네스에 따른 희소식
사도들의 활동들
로마인들에게 보내는 사도 파울로스의 서신
코린도스인들에게 보내는 사도 파울로스의 첫째 서신
코린도스인들에게 보내는 사도 파울로스의 둘째 서신
갈라티아인들에게 보내는 사도 파울로스의 서신
에페수스인들에게 보내는 사도 파울로스의 서신
필립포스인들에게 보내는 사도 파울로스의 서신
콜롯세인들에게 보내는 사도 파울로스의 서신
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내는 사도 파울로스의 첫째 서신
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내는 사도 파울로스의 둘째 서신
티모데오스에게 보내는 사도 파울로스의 첫째 서신
티모데오스에게 보내는 사도 파울로스의 둘째 서신
티토스에게 보내는 파울로스의 서신
필레몬에게 보내는 파울로스의 서신
히브리인들에게 보내는 사도 파울로스의 서신
야코보스의 일반서신
페트로스의 첫째 일반서신
페트로스의 둘째 일반서신
요안네스의 첫째 일반서신
요안네스의 둘째 서신
요안네스의 셋째 서신
유드의 일반서신
예언자 성도 요안네스가 전한 계시